목록독일 뉴스 (4)
Que Sera Sera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ahPX/btqD5H2DPm4/h3GWT6bN8j7KwFTALfm1xK/img.png)
독일어권(독일, 스위스 오스트리아 등)에서 한국에 관한 뉴스가 매일 나오지는 않습니다. 그런데 요 며칠 새 이태원 클럽으로 인해 다시 번진 한국의 코로나에 대한 보도 열기가 뜨겁습니다. 왜 이렇게 뜨거울까요? 아무래도 양상을 대조하기 좋기 때문이겠죠. 한국을 모범 사례로 꼽으며 칭찬을 아끼지 않던 외신들이 이번 사태가 터지자 꽤 여러가지 목소리로 보도를 합니다. 독일을 비롯한 유럽은 평소에도 개인정보보호와 다양성, 인권, 성정체성 등에 아시아보다 조금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번 사태에서도 여러 시각들이 돋보이는 제목들이 있었습니다. 성공적이었던 이전의 한국 상황과 대조시키는 뉘앙스 겨우 쫓은 한국의 위기를 한 명의 사람이 (그것도 파티에 가서) 다시 불러온다는 뉘앙스 다 된 밥..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H7Tst/btqCrjBVh7j/yK11kSLdFeK9ZrLY9fyOj0/img.png)
얼마 전 독일도 코로나 확진자가 늘었고, 오스트리아와 스위스, 크로아티아 등 유럽의 다른 국가들에서도 확진자가 나오고 있다는 소식을 포스팅했습니다. [참고할만한 글] 2020/02/26 - [독일소식] - 독일 코로나 추가 확진자 2명 발생 - 총 18명 2020/02/26 - [독일소식] - 오스트리아 스위스 크로아티아 코로나 첫 확진자 발생 2020/02/23 - [이슈와 정보] - 코로나 확진자 장소 경로 검색 모음 바로가기 - 국내와 해외 2020/03/02 - [이슈와 정보] - 해외 세계 실시간 코로나 확진자 현황 추천 사이트 모음 바로가기 그런데 그 사이에 확진자가 크게 늘어 강한 확산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독일 Welt 지에서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확진자는 총 117명이고 총 9개 도시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rPfho/btqCgoc54jg/My6M3az1fOX9yrSDJ35k5k/img.png)
독일 폴리스 액션이라고 해서 "독일 연방 수사청 BKA5"이라는 드라마가 한국에서 방영 중입니다. 채널유(CH U)에서 방영 중인데요, 독일 드라마 치고 생각보다 철학적이지 않고 코믹도 조금 섞여 있어서 신기하다 했는데 알고보니 2015년 일본 드라마 원작 "The last cop"을 재구성한 것이라고 하네요. 대략 20세기에 살던 형사가 혼수상태를 겪은 후 20년만에 깨어나 21세기로 넘어오면서 부인의 재혼, 동료들과의 세대차이 등을 겪는다는 내용입니다. 편성표를 보면 매우 아침에 하는 것처럼 나와 있는데, 저는 재방송을 봤나 봅니다. 지금 제가 보면서 쓰고 있는데요, 채널유 채널에서 1-2회 연속 방송을 2020년 2월 평일 저녁 8:48에 보고 있습니다. BKA 는 독일 내무부 산하 독일연방범죄수사..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7ZR6/btqBzQt0LRM/tg1KK6Hz6aDfCITpMTRdwk/img.png)
현재 한국에는 우한 폐렴 감염 확진자가 4명으로 늘어 있고, 검진 중인 인원이 90명이 넘어가면서 우한 폐렴 확산에 대한 두려움이 커지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에 현재 확진자가 3명 있는 상태죠. +수정) 현재 독일의 감염 확진자는 3명이 추가돼 총 4명입니다. 그런데 독일에서도 첫 우한 폐렴 확진자가 나왔다고 합니다. 아직 한 명이긴 하지만 이 확진자 소식 하나로 인해 독일인들의 마음에서 동양인 기피 내지 인종차별이 더 강해지는 계기가 될까봐 걱정입니다. 제가 독일에 살 때는 스마트폰도 없던(ㅎㅎ) 때였고 정말 동네에 동양인 찾기가 힘들어서 차별이 많이 있었는데요. 몇 년이 지나고 가 봐도 여전히 차별은 있었습니다만, 그래도 과거보다는 덜해지기도 했고 교민들 스스로도 이젠 크게 신경쓰지 않는 분위..